새우양식업/새우양식기술

스키머 제작 방법

통일왕새우 2016. 5. 4. 17:30

 바이오플락 새우양식장이나 순환여과양식장에서 가장 어려운 숙제는 슬러지 처리 문제이다. 새우의 체중이 약 2~3g 이상 되기 시작하면 새우의 성장 속도가 빨라져서 사료량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다.
 사료량이 증가하면 먹고 남은 사료 잔량 및 배설물의 증가로 이어져 수조내에는 엄청난 슬러지가 쌓이게 된다.
 이처럼 수조내의 사육수 안에 떠도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SS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스키머다.
 스키머는 폼프랙셔네이터 (foam fractionator) 혹은 프로틴 스키머 (protein skimmer)라고도 한다.
 스키머도 기존 제조업체에서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이 있으나 사육수 용량에 맞춰 구입하려면 상당한 금액을 지불해야만 한다.

 스키머는 기본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몇가지 기구만 있으면 자체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늘 제작하려고 하는 소형 스키머는
 - 500mm PVC 배관
 - 벤츄리
 - 순환모터
 - 10mm PVC 판
 등이 있으면 된다.
 교육용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500mm PVC 배관 대신 투명 아크릴 관을 사용하였다. 아크릴관을 사용할 경우 제작과정에서 금이 가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키머에서 거품과 슬러지를 모이게 하여 배출하는 깔대기 모양의 관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밑 판은 스키머의 무게 중심을 감안하여 약간 넓게 자르는 것이 좋다.

 밑바닥 판을 재단하여 자르고 있다.

 투명아크릴에 배관을 연결할 위치를 표시하고 드릴에 뚫코자하는 관경에 맞는 커터날을 끼워 구멍을 낸다.

 구멍을 낸 곳에 배관과 벤츄리 등을 맞게 끼워 넣는다.

 배관을 끼울때는 용접 하기 편한 순서대로 끼워 넣어야 배관 안쪽의 용접을 쉽게 할 수 있다.

 배관의 위치가 맞게 끼워졌으면 순서대로 용접을 한다.

 용접할때는 물이 새지 않도록 꼼꼼하게 용접을 해야 한다.

 교육생들이 열심히 스키머를 만들고 있다.

 용접을 마쳤으면 새는 곳이 없는지 꼼꼼히 확인하고

 실제로 물을 담수하여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물이 새는 곳이 있을 경우 물이 새지 않도록 다시 용접한다.

  물이 새는 곳이 없으면 완성된 것이다.

 완성된 스키머. 여기에 원뿔 형태의 배출관을 끼우고 순환펌프를 연결하면 끝이다.
 이제 수조로 옮겨 슬러지 제거 효과를 확인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