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양식업/새우양식기술

수질검사는 '필수'

통일왕새우 2016. 4. 26. 16:28

수질검사 키트 입니다. 오른쪽 깔대기 모양은 임호프관입니다.

 산소포화도 (DO)와 염도, 수소이온농도 (pH), 수온 등을 측정하는 기기 입니다.

 아질산, 질산염 및 알카리 측정 키트 입니다. 시간을 재는 타이머도 있네요.

 맨 왼쪽 작은 상자가 알카리 측정키트이고, 가운데 두개가 아질산과 질산염 측정키트, 오른쪽 푸른색 케이스는 암모니아 측정키트 입니다.

  산소포화도 (DO)와 수소이온농도 (pH)를 측정할때는 위 보기와 같이 에어브로어를 피해서 측정해야만 측정값이 정확하게 나옵니다.
 즉 가장 취약하다고 생각되는 곳이 측정의 적지 입니다.

 암모니아 (TAN, NH4), 아질산(NO2), 질산염(NO3), 알카리, 플락의 양(SS) 등의 수질을 측정할 때 취수는 폭기와 교반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곳에서 해야합니다.
 측정할 때는 항상 같은 장소와 같은 시간에 측정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데이터가 일정하고 변화하는 추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 (NH4) 측정방법
 암모니아 축정키트는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키트에 있는 주사기로 수조에서 채수한 사육수를 A, B 두 병에 각각 5ml씩 담습니다.

 A병에만 NH4-1 시약 4ml와 NH4-2 시약 1스푼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10초간 흔들고 5분간 기다립니다. 

 그후 NH4-3 시약을 4방울을 A 병에 넣고 10초간 흔들고 7분간 기다립니다.
 그리고 A병의 색깔이 변하는 것을 보고 측정키트에 포함된 색조 대비표와 같은 색깔을 찾아 봅니다.  동일한 색깔이 있는 곳의 대비표와 같은 색깔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고 측정값을 판단합니다.

 ■아질산염 (NO2) 측정방법
 아질산염 (NO2)은 암모니아가 질산염 (NO3)으로 되는 질화과정의 중간 산물입니다. 비교적 불완전한 질소화합물로 질화세균인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에 의해 전환됩니다.

 수중에서 아질산염은 보다 독성이 강한 아질산(HNO2)과 평형을 이룹니다. 이때 아질산염과 아질산 농도의 비율은 pH에 따라 달라 집니다. 즉 낮은 pH에서 평형은 아질산 쪽으로 이동하며 독성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양식장 환경에서의 pH 조건하에서는 거의 아질산염의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아질산염은 암모니아에 비해 독성은 약하지만 그래도 일반 축제식 양식장에서 허용기준은 약 0.1ppm 입니다. 그러나 사료공급량이 증가하는 성장기에는 1ppm을 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고농도의 아질산염이 장기화 될때는 새우의성장과 생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만 1주일 내외의 단기간에는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이 기간동안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아질산염 (NO2) 측정방법은 먼저, 측정키트에 있는 A, B병에 사육수 6ml씩 담습니다.

 A병에만 NO2-1 시약을 1스푼 넣고 뚜껑을 덮어 10초간 흔들고

 3분간 기다립니다. 

 그리고 색깔이 변하면 키트에 내장된 둥근 원판에 있는 색상 대비표와 비슷한 색깔을 찾아 해당하는 측정값을 읽어오면 됩니다.

 아질산염의 조절은 바이오플락 기술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입니다. 암모니아에 비해 아질산염의 감소는 매우 느리게 나타나며 떨어뜨리기 힘든 편입니다. 일반적인 방법은 사료량을 줄여 아질산염 농도를 조절하는데 몇일간 변화 추이를보다 상승추세가 정지되거나 떨어지면 다시 사료량을 정상으로 증가시킵니다.

 사육수를 타가영양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입식 초기부터 C/N 비율의 조절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사육수를 관리해야 합니다. 미생물 군집을 잘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새우 입식전부터 충분한 기간을 두고 물만들기를 하거나 이미 발달된 바이오플락수를 접종하는 방법이 있다.

 암모니아의 생물학적 초종 산물이 질산염 (NO3)이다. 질산염은 거의 독성이 없으며, 상당한 고농도에서만 독성을 지닙니다. 새우의 반수치사 농도는 약 200ppm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바이오플락에서는 200ppm 이상의 농도에서도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질산염 (NO3) 측정방법
  질산염 (NO3) 측정키트에 있는 A, B병에 사육수 5ml씩 담습니다. A병에 NO3-1 시약을 1스푼 넣고 1분간 흔들어 줍니다.

 그런 후 다시 5분간 기다립니다.

 색깔이 변하면 색상대비표 위에 A, B병을 올려놓고 맞는 색상을 찾으면됩니다. 그 해당 되는 색상의 숫자가 측정값입니다.

  ■알칼리도 측정방법
  알카리(Alk) 측정키트에 있는 병에 사육수 5ml씩 담습니다. 병에 R-2 시약을 2방울 넣고 좌우로 살살 돌려가며 조심스럽게 섞어줍니다.

 측정키트 안에 있는 주사기로 R-3 시약을 뽑은 후 시약을 넣고 섞었던 병에 한 방울 씩 넣어가며 좌우로 살살 섞어줍니다. 병에 있는 물이 빨간 색으로 변할때까지 R-3 시약을 넣고 빨간 색깔로 변하면 시약 넣기를 중단합니다. 그리고 그때까지 들어간 시약의 양을 주사기를 통해 확인합니다.

 주사기를 통해 시약 투입량이 확인되면 시약 투입량에 50을 곱합니다. 그것이 바로 알칼리 측정값입니다. 이 측정값이 100보다 커야 합니다.

  ■플락의 양(SS : settleable solids 또는 FV : floc volume) 측정방법
  사육수 안에 있는 플락이 정상적으로 들어 있는 지를 측정하는 것은 삼각깔대기와 같이 생긴 임호프관을 사용합니다. 임호프관은 인터넷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사육수를 채수할 때는 수심 10~15cm에서 1리터를 채수합니다. 채수하기 좋은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경이 좋습니다. 채수한 물을 임호프관에 넣고 벽에 부착물이 달라 붙지 않도록 임호프관의 외벽을 몇차례 두드려 줍니다. 이렇게 한 후 30분 ~ 1시간 후 쌓여 있는 플락의 양이 표시된 눈금을 읽으면 이것이 플락양의 측정값 입니다.

 플락 양의 기준은

 1단계 : 0mL / L

 2단계 : 0.1mL / L 이하

 3단계 : 0.1~5.0mL / L (4주 전후)

 4단계 : 5.0~10.0mL / L (6~8주, 적정)

 5단계 : 10~15mL / L (적정)

 1단계 : 15mL / L 이상 (과 발달, 플락 제거 필요)

 

 수질관리는 바이오플락 양식에서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새우가 잘 살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최우선 과제 입니다.

'새우양식업 > 새우양식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모니아 측정  (0) 2016.05.01
알태미아 알을 보양식으로 주다.  (8) 2016.04.28
새우 치하 입식하던 날  (0) 2016.04.26
주간 채집망 만들기  (0) 2016.04.26
알테미아 난 탈각하기  (0) 2016.04.26